하늘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수분의 집합체입니다. 구름에 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름의 수분이 자리잡고 있는 형태
언제 어디서건 하늘을 올려다보면 관찰이 되는 한가지 형체가 있습니다. 다름 아닌 구름이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구름이 수증기의 집합체라는 사실은 아마 다들 잘 아시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데요. 달리 이야기를 해서 구름은 물의 기체 상이라고 이야기를 할 수가 있겠습니다. 공기보다 작은 밀도 때문에 공중에 떠있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하지만 구름이라는 형체를 잘 살펴보면 단순히 기체로만 구름이 형성이 되어있지는 않습니다. 굳이 따져보자면 구름에 있어서도 층이 있다고 할 수가 있겟는데요. 구름의 가장 상층에는 아주 작은 물방울들이 언 상태로 존재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바로 아래에는 얼어있는 아주 작은 알갱이의 얼음과 함께 아주 작은 미세한 물방울들이 섞여져 있는 층을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구름에서 눈과 비가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요. 앞서서 이야기를 한 것처럼 구름에는 기본적으로 눈의 형태와 그리고 비의 형태의 수분을 머금고 있다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지표면에 내리게 되는 형태가 달라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눈으로 내리거나 혹은 비로 내리는 형태의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가지가 있으니 다름 아닌 날씨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날씨가 따뜻한 즉 얼음이 형성될 수 없는 온도에서의 날씨에서는 구름이 있던 물방울들이 서로 뭉쳐지게 되고 뭉쳐진 물방울이 땅으로 내리게 되겠는데요. 이를 두고 우리는 비라고 부르게 되겠습니다. 반대로 날씨가 추운날 달리 이야기를 해서 얼음이 형성될 수 있는 온도에서는 구름에 있던 미세한 물방울들이 얼면서 구름에 있던 아주 작은 얼음 알갱이들과 결합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결합을 하여서 땅으로 내려오는 것을 우리는 눈이라고 이야기를 하죠. 즉 구름이라는 형상은 아주 작은 수분들로 이루어진 집합체라고 할 수가 있으며 땅에 내리는 형태에 있어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날씨 즉 온도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다양한 눈의 종류와 형태가 다른 이유
앞서서 말씀을 드린 것처럼 온도에 따라서 눈과 비의 형태로 내리게 되겠는데요. 특히나 눈의 경우 온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다들 잘 아시는 것처럼 다양한 형태의 눈이 관찰이 되는데요. 다양한 눈의 종류들을 알아보고 각각의 종류에 따라서 어떠한 조건이 되었을때 내리게 되는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날씨가 그렇게 춥지 않은 날 눈과 비가 함께 내리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겠습니다. 구름에 있던 모든 수분이 얼어버릴 만큼 추운 날씨가 아니라 눈과 함께 비가 떨어지는 형체를 하게 되는데요. 우리는 이러한 형태의 눈을 진눈깨비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눈이라고 생각을 하면 가장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형태가 있으니 바로 함박눈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그야말로 하늘에서 펑펑 내리는 눈이 형태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입자가 굵은 함박눈이 내리는 이유는 다소 포근한 날씨 때문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포근한 날씨로 인해서 눈이 살짝 녹게 되고 녹은 눈은 서로 달라붙어 좀 더 큰 형태의 눈이 내리게 되겠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눈을 우리는 함박눈이라고 부르죠. 그리고 또 우리가 낭만을 느낀다는 눈의 한가지 형태가 있죠. 다름 아닌 가루처럼 내리는 눈이라고 할 수가 있겠는데요. 아주 작은 형태 말그대로 가루와 같은 형태의 눈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앞서서 말씀드린 것처럼 날이 포근한 경우 조금은 녹아서 더 큰 형태의 눈을 만들게 되는데요. 이와는 달리 날이 아주 추운 경우 구름에 있던 작은 미세한 얼음들이 그대로 내리게 되겠습니다. 달리 이야기를 해서 너무 낮은 온도로 인해서 눈의 형태가 더 커질 수 있는 기회가 없다는 것인데요. 날씨가 아주 추운날 발견할 수 있는 눈의 형태가 바로 가루처럼 흩날리는 눈이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오늘은 구름과 눈에 관한 이야기 전해드렸고 다음에도 즐겁게 풀어낼 수 있는 다양한 과학 이야기 가지고서 인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